안녕하세요.
화물차주 사업자등록번호 신고방법에 대해 포스팅합니다.
화물차주 산재보험 신고시 주민등록번호, 사업자등록번호 중 택1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.
주민등록번호는 민감한 개인정보여서 여쭤보기 애매한 상황이 많아 사업자등록번호로 신고하는 것이 편합니다.
사업자등록번호 신고는 아래처럼 진행하시면 됩니다.
[단기노무제공 내용 확인신고 대상 화물차주 관련 신고방법이며,
월보수액 신고 대상 화물차주는 주민등록번호로만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.]
[요약]
고용산재토탈서비스 → 민원접수/신고 → 특수형태근로종사자(노무제공자)예술인 →
고용산재보험 단기노무제공내용확인신고 → [산재보험] 체크 →
사업장관리번호 옆에 돋보기 → 특수형태근로자용 관리번호를 선택 → 하단 사업자등록번호 신고 체크 → 작성
1. 고용산재토탈서비스 → 민원접수/신고 → 노무제공자•예술인 → 고용산재보험 단기노무제공내용확인신고로 들어갑니다.
2. 보험구분 [산재보험] 체크 → 사업장관리번호 옆에 돋보기 클릭
관리번호 부여가 잘 되었다면 이렇게 [근로자용 관리번호] , [특수형태근로자용 관리번호] 두 개가 뜹니다.
3. 특수형태근로자용 관리번호를 선택해줍니다.
4. 특수형태근로자용 관리번호를 누르면, 위 그림의 두번째 그림처럼 원래는 없던 [사업자등록번호 신고] 체크박스가 뜹니다. 그럼 아래와 같이 주민등록번호란이 사업자등록번호란으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5. 받은 세금계산서의 사업자등록번호를 이용하여 노무제공일, 보수금액 등을 신고해줍니다.
** 기타
하지만 저는 위처럼 건건이 신고시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, 위쪽 [샘플파일 다운로드(사업자등록번호 신고용)]을 다운받아 하단 근로자목록에서 [작성파일 불러오기]를 통해 일괄 신고하는 것이 편해 엑셀로 신고했습니다.
엑셀파일 작성시 파일에 [회색이 칠해진 부분+노무제공일+노무제공일수]만 적어서 신고했습니다.
1. 사업자등록번호 : 대시바 없이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. ex) 1234567890 (O), 123-45-67890 (X)
2. 직종코드 : 985 / 화물차주(기타 품목 운송)
3. 보험료부과구분 : 52 / "산재"만 신고
4. 보험료부과구분사유 : 26 / "노무제공자"
'알게된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산재보험] 화물차주 산재보험료 계산/신고 (0) | 2023.07.13 |
---|---|
법인 본점이전 구비서류 (법무사 줄 때) (0) | 2023.07.13 |
[송달료/보관금입금조회] 은행사이트에서 간단하게 조회하기 (0) | 2021.07.13 |
[유노트/전자어음] 부도어음반환확인서/보유확인서 (1) | 2021.03.07 |
[구글 애널리스틱] 계정 추가 생성, 계정 삭제하기 (0) | 2021.03.07 |